게임, 인터넷 산업
글로벌게임산업트렌드 주요내용 (2022년 7+8월호)
코울필드
2022. 8. 22. 12:43
[시장] HTML5 게임, 구글·틱톡 등이 나서며 새로운 터닝 포인트 마련되나?
- HTML5로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웹 브라우저만 있다면 동일한 품질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.
- 특히 HTML5의 경우 이전 HTML 표준 대비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었으며, 이 때문에 표준 확정 당시 게임업계에도 상당한 파급력을 가져다줄 기술로 평가되었다.
- HTML5 이전 대다수의 웹 게임은 어도비 플래시(Adobe Flash)를 기반으로 제작되었고, 플래시는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2020년 12월 개발사 어도비 측에서 지원을 종료하였다.
- HTML5 기반 게임은 안드로이드, iOS 등 모바일 운영체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어디서나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. 즉, 개발자 입장에서는 안드로이드 버전과 iOS 버전을 따로 제작해야 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.
- HTML5는 이론적으로 대형 플랫폼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독자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.
- 게임스낵스는 2022년 6월, 글로벌 이용자 3,500만 명을 돌파했다고 발표했다. 3,500만 명의 이용자 대부분은 인터넷 속도가 느린 개발도상국 거주자들이라고 한다.
- 게임스낵스는 구글 애즈(Google Ads) 산하에 있다는 점을 통해 HTML5 게임의 수익모델을 ‘광고’에서 찾는 것으로 볼 수 있다.
- HTML5 게임은 새로운 시장이 아니다. 이전에 플래시 기반의 웹 게임이 있었고, 페이스북의 소셜 게임이 있었다. 그리고 현재 모바일 게임분야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하이퍼 캐주얼 게임과 직접 경쟁하는 모양새이다.
[시장] 여성 게임 이용자 중심의 틈새시장 형성 가능성
- 미국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 협회(Entertainment Software Association, ESA)에 따르면, 미국 게임 이용자의 48%가 여성이다.
[기술] 실력 기반 매칭 시스템의 대안으로 지목되는 이탈률 기준 매칭 시스템
- 매칭 시스템은 배틀로얄, FPS, MOBA 등 온라인 PvP 게임에서 흥미를 유도하고, 게임을 지속하게 하는 결정적인 요인 중 하나다.
- 실력 기반 매치메이킹(SBMM; Skill Based MatchMaker)은 그 이름 그대로, 동등한 수준의 실력을 가진 이들끼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매칭해주는 시스템이다. SBMM 하에서 이용자의 실력은 일반적으로 MMR(MatchMaking Rating)이라 부르는 점수를 부여받는 방식으로 계산된다.
- 게임 이용자들의 다양한 SBMM에 대한 불만 중 공통되는 부분은 SBMM이 적용되지 않은 게임 대비 실력 향상이 체감되지 않는다는 것이다. SBMM은 보다 많은 수의 게임 이용자들이 실력 차이에 따른 불합리한 패배를 경험하지 않도록 하는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나, 이 도입으로 인해 높은 실력을 쌓은, 게임의 주요 고객에게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.
[정책] <디아블로 이모탈>이 소환한 확률형 아이템 규제의 현재
- 2018년 확률형 아이템이 도박법을 위반한다고 판단한 벨기에와 함께 네덜란드는 확률형 아이템 규제의 최전선으로 분류되는 국가이다.